-
혼공네트] 3주차 - 과제 : Ch3. 네트워크 계층Network 2025. 2. 2. 22:48반응형
요약정리
2025.01.26 - [Network] -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1 : 인터넷 프로토콜(IP:Internet Protocol)
2025.02.02 - [Network] - 네트워크]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2025.02.02 - [Network] - 네트워크] IP 주소
혼공학습단 13기
필수 과제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p.147
Q1. IPv4의 대표적인 기능 두 가지를 골라 보세요.
A.
② IP 주소지정, ③ IP 단편화
IP의 대표적인 기능
- 주소 지정(IP addressing)
- 각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등)에 고유한 IP 주소를 부여하고, 이 IP 주소를 이용해 누가(보내는 쪽) 누구에게(받는 쪽) 데이터를 전달할지를 결정하는 과정
- 단편화(IP fragmentation)
-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의 크기가 너무 클 때 여러 개의 패킷으로 쪼개서 보내는 것
- MTU(Maximun Transmission Unit) : 한 번에 전송 가능한 IP 패킷의 최대 크기
- 나누어진 패킷은 수신지에 도착하면 다시 재조합
- 일반적으로 1500byte
④번의 IP 주소 변환은 NAT에 관한 이야기!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호스트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
- IP 주소 변환 기술 : 주로 사설 IP 주소(네트워크 내부)와 공인 IP 주소(네트워크 외부)를 변환 (반대도 가능)
- 대부분 라우터와 (가정용) 공유기는 NAT 기능 내장
- 사설 IP 주소 ↔ 공인 IP 주소 변환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p.187Q2. 라우팅 프로토콜과 관련한 아래 설명을 읽고 옳은 것을 골라 보세요.
라우팅 프로토콜은 AS 내부에서 수행되는 IGP와 AS 외부에서 수행되는 EGP로 나뉩니다. RIP는 대표적인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고, OSPF는 대표적인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입니다.
반응형'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IP 주소 (0) 2025.02.02 네트워크]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0) 2025.02.02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1 : 인터넷 프로토콜(IP:Internet Protocol) (0) 2025.01.26 혼공네트] 2주차 - 과제 : Ch2.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0) 2025.01.19 네트워크] 물리 계층 장비 - 허브 (0) 2025.01.19 - 주소 지정(IP addressing)